딥러닝 12

[Deep Learning from scratch] 3. 신경망

이번 장에서 배울 신경망은 앞장에서 배운 퍼셉트론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퍼셉트론에서는 적절한 가중치 매개변수 값을 인간이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는데, 신경망은 적절한 값을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학습한다. 신경망의 개요를 살펴보고, 입력 데이터가 무엇인지 식별하는 처리 과정을 알아보자. 다차원 배열의 계산은 생략한다. 신경망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은닉층의 뉴런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은닉층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책에서는 입력층에서부터 출력층 방향으로 0,1,2층으로 한다. 포스트에서도 이 방식을 채택하겠다. 파이썬의 인덱스도 0부터 시작하여 코드를 구현할 때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료에 따라 층 개수로 그림 3-1을 3층 신경망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는 가중치를 갖는 층의 개수를 사용하..

딥러닝 2023.03.05

[Deep Learning from scratch] 2. 퍼셉트론

2장부터 시작해보도록 하자. 앞의 numpy와 matplotlib의 pyplot, 논리게이트에 대한 내용은 생략한다. 퍼셉트론은 신경망의 기원이 되는 알고리즘이다. 퍼셉트론은 다수의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각 입력값마다 고유한 가중치(w)를 곱해서 그 값들의 합이 임계값(θ)을 넘어서면 1, 그렇지 못하면 0을 출력한다. 가중치가 클수록 해당값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이 논리회로를 파이썬을 이용하여 AND게이트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def AND(x1, x2): # x1, x2는 입력값 w1, w2, theta = 0.5, 0.5, 0.7 # 입력값마다 가지는 고유한 가중치와 임계값 tmp = x1*w2 + x2*w2 if tmp theta: return 1 앞의 코..

딥러닝 2023.03.05